COPYRIGHT(C) 2016 BY DAEGU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
INFORMATION
![]() | ||
공통 | 개별 연구지도 (Individual Research) | 대학원 석사학위에 필요한 논문지도 및 개인별 맞춤형 지도 |
공통 | 공기업론(Study of Public Enterprise) | 공기업의 설립 이유, 설립과정, 자본조달, 유형, 외국의 사례 등 공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검토한다. |
공통 | 연구방법론(Research Methods in Public Enterprise) | 사회과학에서 사용되는 연구방법을 개관하며 가설구성과 검증, 연구설계, 자료수집 방법 및 자료분석의 논리를 다룬다. |
공통 | 정부와 기업(Government and Business) |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사이의 경계선에 관한 이론을 탐구한다. 시장실패, 정부실패 등이 집중적으로 다루어진다. 공공부문에서의 의사결정을 공기업의 관점에서 접근한다. |
전공 | 연구방법론특강(Special Topics in Methodology) | 공기업 연구와 관련된 연구방법론 영역의 특정 주제를 택해서 집중적으로 다룬다. |
전공 | 공기업 회계(Account in Public Enterprise) | 공기업에 적용되는 회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방법을 소개하고 학습한다. 특히 재무제표 작성과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다룬다. |
전공 | 공기업 비교(Comparative Approach in Public Enterprise) | 비교행정 및 정책의 관점에서 외국 공기업의 특징, 형태, 정책결정, 서비스 수준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한국 공기업에 시사 하는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고찰한다. 비교정책연구에 있어 중요한 이론 틀인 역사제도주의와 비교역사학적 방법론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한다. |
전공 | 기업형정부론(Entrepreneurial Government) | 민간기업의 경영기법과 행정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탄생시킨 기업형정부의 내용과 특성에 대해 주로 연구한다. TQM, 전략경영(strategic management), 성과평가(performance evaluation), 민영화(privatization), 벤치마킹, 리엔지니어링, 기타 정부재구축과 생산성향상기법에 대한 개론수준에서 내용을 소개한다. |
전공 | 공공관리세미나(Seminar in Public Management) | 행정학의 한 접근방법으로서 공공관리론의 의의를 논의한다. 공공행정의 특징적 환경을 정치적, 조직적, 그리고 개인적 수준에서 고찰하고, 행정개선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
전공 |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 | 공기업에 있어서 사기이론, 동기부여, 인력의 수급문제 등을 전반적으로 다룬다. |
전공 | 조직관리(Organization Management in Public Enterprise) | 공기업조직의 형태(또는 기능)를 규정하는 결정인자로서 환경, 규모, 기술, 인간, 구조 등을 파악하여 공기업 조직을 이해한다. |
전공 | 재무분석(Financial Analysis) | 공기업 예산의 기획과 통제측면, 재무보고, 감사, 재무관리, 민영화, 재무의사결정, 위험과 수익, 불확실성 하에서의 의사결정의 주제에 대해 소개한다. |
전공 | 도시관리(Urban Management) | 대도시에서 나타나는 공공적 문제의 원인과 처방에 관한 공기업 차원의 논의를 탐구한다. 도시공공서비스 공급을 위한 공공부문의 조직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력관계, 도시경제개발, 도시재정 등의 주제를 다룬다. 아울러 교통, 토지, 주택 등의 도시문제를 둘러싼 공기업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전공 | 도시개발론(Urban Development) | 도시개발에 대한 다양한 분야 중에서도 토지와 주택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도시재개발의 필요성과 공기업의 역할 등을 탐구한다. 공공성을 담보한 공기업의 도시개발에 대한 전반적 내용을 다룬다. 아울러 도시개발에 대한 관련 법규에 대한 검토도 병행한다. |
전공 | 토지정책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Reality in Land Policy) | 지역개발을 위한 다양한 정책 중에서 토지에 대한 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탐구한다. 이론적으로 갖는 한계를 실제 사례를 통해서 검토하고 그 과정에서 공기업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연구한다. 아울러 부동산학에 대한 연구도 병행한다. |
전공 | 도시교통론(Urban Transportation) | 대도시의 교통과 관련하여 지하철에 대한 주제를 다룬다. 해외의 지하철 정책에 대한 검토를 병행하며 우리나라 지하철 정책과 지하철 공사의 역할과 기능을 비교한다. 그리고 지하철공사의 관리와 운영에 대한 내용도 같이 검토한다. |
전공 | 도시복지론(Urban Welfare) | 도시에서 발생하는 복지수요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공기업 복지에 대하여 탐구한다. 특히 대도시에 설립되어 있는 지방공기업의 복지서비스의 공급 수준과 공급의 방법론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며 민간이나 지방정부에서 제공하는 방법과의 차이를 연구한다. 아울러 그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업의 적정한 운영과 관리방안을 모색한다. |
전공 | 도시환경론(Urban Environment) |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문제에 대응하는 공기업에 대하여 탐구한다. 상·하수도, 소각, 폐기물 등 다양한 환경 분야의 공기업의 역할과 기능 적정한 운영방식 등을 연구한다. |
전공 | >정책연구특강(Special Topics in Policy Studies) | 공기업 정책 영역 중 특정 주제를 택해서 집중적으로 다룬다. |
전공 | 공기업과 민영화(Public Enterprise and Privatization) | 공기업에 대한 정책적 이슈 중 가장 큰 것이 민영화이며 민영화에 대한 논리, 각국의 민영화 전개과정, 그리고 민영화의 효과 및 적실성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
전공 | 공기업 사례연구 세미나(Case Study Seminar in Public Enterprise) | 공기업 다양한 영역 중에서 특정 사례와 주제를 택해서 집중적으로 다룬다. |
전공 | 공기업과 마케팅(Public Enterprise and Marketing) | 공기업이 갖는 기업적 성격인 마케팅의 필요성과 기능, 그리고 공기업 마케팅의 특성 등을 검토하고 사기업과의 차이 등을 통해서 공기업 마케팅이 갖는 의미를 검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