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
개별연구지도(Advanced Research Works) |
최근의 건강 및 운동과 관련된 연구 동향 및 연구주제의 선정 등에 대해 연구한다. |
공통 |
연구방법론(Methodology of Research) |
실험 방법 및 자료처리, 결과해석 등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와 평가를 하기 위한 통계적 기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공통 |
운동처방론 (Exercise Prescription Theory) |
만성질환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람들, 질환에 이환될 위험이 있는 사람들의 질환예방과 건강을 위한 운동검사와 운동처방의 적용 및 가치를 제시한다. 임상운동처방사, 건강체력지도자(Health Fitness Instructors)와 개인체력트레이너(Personal Fitness Trainers)에게 필요한 세부적인 내용과 능력에 대하여 교육한다. |
전공 |
개인운동프로그램디자인 (Program Design for Personal Exercise) |
본 교과목은 최근 일반인들을 위한 건강과 체력향상은 물론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및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운동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운동프로그램 수행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Personal Trainer가 갖추어야 할 전문 지식을 학습한다. 이를 위해 건강 및 체력향상을 위한 관련된 최신 이론, 실제적인 운동프로그램 개발 등 전문 Personal Trainer로서 갖추어야 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운동능력 모형을 학습하는데 있다. |
전공 |
건강관리학특강 (Topic of Health Management) |
본 교과목은 질환자 및 일반인들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이론적인 내용들을 학습함으로써 운동처방사에게 필요한 건강관련 기초 지식을 습득하는데 있다. |
전공 |
운동부하검사방법론 (Graded Exercise Test) |
운동과학의 기초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운동부하검사의 원리를 이해하고 각종 검사 기자재의 조작능력을 기르며, 결과의 정리 및 해석방법과 운동처방 원리를 소개한다. |
전공 |
운동생리학특강 (Topic of Exercise Physiology) |
본 교과목은 운동(스트레스)이라는 자극에 반응하여 일어나는 인체의 생리적 변화를 분석하고, 그 기전을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조건에 있는 사람(일반인, 운동선수)들의 신체적 능력 향상(건강체력, 경기력)을 유도하기 위한 생리적 적응현상을 습득하고 운동과학의 이론적 기초를 다지는데 있다. |
전공 |
운동수행측정평가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Human Performance) |
본 교과목은 원활한 운동수행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정적 및 동적 자세변화를 측정 및 평가, 분석하여 구조적 효율성과 기능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근신경계 적응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습득한다. |
전공 |
운동재활특강(Topic of Exercise Rehabilitation) |
스포츠손상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 문제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무엇이 문제인지 손상을 평가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접근 방법이 있겠지만 해부학을 기초로 시진, 뼈의 촉진, 연부조직의 촉진, 관절운동범위, 신경학적 검사, 특수검사 등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접근하여 정확히 손상평가 할 수 있는 능력을 이론과 실기가 병행된 과목이다. |
전공 |
운동치료학특강 (Topic of Therapeutic Exercise) |
운동치료학은 스포츠 활동과 같이 운동과 관련되어 발생한 부상이나 질병을 관리 및 예방하고 과학적 치료운동을 통한 치료 방법을 습득하는 학문분야이다. 인체생리학, 운동생리학, 병리학 그리고 인체역학과 연계하여 다양한 치료적 운동방법을 습득시킨다. |
전공 |
질환별운동처방특강 (Topic of Exercise Prescription for Disease) |
질환별 운동의 검사 및 결과해석 상의 유의사항을 상론하고, 운동중단 사유 및 운동 금기대상, 준 금기대상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아울러 질환별 운동검사의 해석방법 및 약리적 효과등을 이해하고 적절한 운동처방을 위한 기본지침 및 프로그램 작성 요령, 운동실행상의 주의사항을 상론한다. |
보충 |
건강체력측정평가 (Measurement and valuation
for Health Fitness) |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처방을 위한 다양한 사전 검사방법과 건강체력요
인별 측정 방법 및 평가에 대한 이론적지식을 습득하고 운동처방 대상자별
측정결과에 대한 올바른 운동처방 방법을 교육한다. |
보충 |
근골계재활운동이론및실습 (Exercise Techinques in
MusculoskeletalRehabilitation) |
스포츠 손상 후 빠른 경기로의 회복과 손상 전의 수준으로 회복을 위해
손상에 따른 부위별 재활 방법을 이해시키며, 운동 전문가로서 선수나
일반인들의 스포츠 손상 후 빠른 회복과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과 방법을 습득하는데 있다. |
보충 |
근골계질환의검사 (Test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
근육불균형은 골격근의 가장 흔한 현상 중에 하나이며, 통증 및 상해와 관계
되어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근골격계 질환을 이학
적인 방법과 기구를 이용한 방법으로 그 기능을 검사하는 방법을 습득하며
인체의 기능적인 움직임을 이해하는데 있다. |
보충 |
기능해부학
(Functional Anatomy) |
인체의 움직임과 관련된 해부학, 생리학, 역학의 원리를 이해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학문으로 운동과학에 포함하는 근육, 뼈, 관절에 대한 기능적인
측면에서 해부학을 다루는 학문이다. |
보충 |
만성질환의 이해 (Understanding of chronic
desease) |
본교과목은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생활습관병(만성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이를 통해 운동처방을 위한 기초지식으로 접목하
는데 있다. |
보충 |
운동생리학 (Exercise Physiology) |
운동생리학은 해부학과 생리학에서 파생된 학문으로 우리몸이 나타내는
여러가지 현상(각 기관의 기능과 또 여러가지 기능을 결정짓는 조건)과
운동이라는 자극에 반응하여 일어나는 기능적인 변화와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훈련의 결과로 나타나는 적응현상을 다루는 학문이다. |
보충 |
운동영양학 (Exercise Nutrition) |
열량영양소들의 기능과 에너지 동원 및 저장과 관련된 기전들을 알아보고 영양소들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그리고 스포츠 현장 및
임상에서 요구하는 영양의 주요개념을 이해하고 운동선수 및 부상자,
비만, 성인병 환자 등을 대상으로 사례별 영양, 운동 프로그램을 병행
제시한다. |
보충 |
운동의학 (Exercise Medicine) |
질환별 운동검사의 해석방법 및 약리적 효과 등을 이해하고 적절한 운동처방을 위한 기본지침 및 프로그램 작성 요령, 운동실행상의 주의사항을
습득한다. |
보충 |
운동지도방법론 (Methods of Exercise instruction) |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신체적·정신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트레이닝의 방법과 원리를 이해한다. 특히 운동 종목별로 체력 수준을
진단하고 신체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작성한다. |
보충 |
퍼스털트레이닝이론및실습 (Personal Training Theory
and Practice) |
건강 및 체력향상을 위한 관련된 최신 이론, 실제적인 운동프로그램
개발 등 전문 Personal Trainer로서 갖추어야 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율적인 적정 운동능력
모형을 학습하는데 있다.
이 교과목은 헬스/피트니스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한
관리자의 역량을 배양하기 위하여 운동사의 자질, 조직, 시설․장비, 직원관리, 프로그램, 영업, 고객서비스, 안전관리, 법률․보험, 사업실적
평가 등에 관한 내용을 상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