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
개별연구지도(Research Works) |
본 교과목은 석사학위논문 작성에 필요한 논문의 체계, 구성, 논리의 전개, 그리고 자료수집 등에 대해 지도한다. |
공통 |
지역사회개발론(Community Development) |
|
공통 |
사회문제세미나(Seminar in Social Problems) |
|
공통 |
지역사회개발론(Community Development) |
본 교과목은 지역사회개발에 필요한 기초이론과 그 기법에 대하여 공부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지역사회개발의 개념, 역사, 유형, 과정 및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다. |
공통 |
조사방법론(Survey Methods) |
사회적 현상을 과학적으로 조사하는 데에 필요한 이론 및 기법에 관한 지식을 개념과 이론, 연구의 논리, 계량적 방법과 질적 자료의 차이, 논리적 실증주의, 연구조사의 설계, 측정, 표본조사 및 자료의 처리, 자료의 분석방법, 조사의 이용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
공통 |
사회복지론(Social Welfare) |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와 실체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려는 것이다. 본 과목은 사회복지의 가치와 이념, 사회복지의 발달과정을 먼저 이해한 후 사회복지학의 연구 및 실천방법, 사회복지의 미시적 분야와 거시적 분야, 사회복지 실천방법론과 사회복지 정책과 제도, 그리고 사회복지 실천의 주요 분야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의 학문으로서의 연구전망과 사회제도적 및 실천적 전망을 알아본다. |
공통 |
지역사회조직론(Community Organization) |
본 교과목에서는 지역사회개발의 중심 전략이 되고 있는 지역사회조직에 관한 일반적인 내용과 그 기법에 대해 배운다. 여기에는 지역사회조직의 개념, 유형, 역사, 그리고 그 사례 등이 있다. |
전공 |
지역사회학(Community) |
본 교과목에서는 지역사회학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게 된다. 여기에는 지역사회학의 개념, 유형, 역사, 그리고 그 사례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전공 |
NGO와 지역사회개발(NGO and Community Development) |
본 교과목에서는 비정부 조직과 지역사회개발과 관계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게 된다. 여기에는 비정부 조직의 개념, 역사, 유형, 그리고 각국의 비정부 조직의 사례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전공 |
사회복지정책론(Social Welfare Politics) |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다양한 욕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현실 지향적인 사회복지정책을 살펴본다.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복지정책의 출현배경과 역사를 살펴봄으로서 현대의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그리고 사회복지정책과 인접분야들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고 복지국가의 유형에 대해 분석해 본다. |
전공 |
지역사회리더쉽(Community Leadership) |
본 교과목에서는 지역사회개발에 필요한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실제 개발 할 수 있는 기법을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지역사회리더쉽의 개념, 지역사회리더쉽의 유형, 지역사회리더쉽의 발달, 그리고 지역사회리더쉽의 사례등이 포함되어 있다. |
전공 |
지방행정론(Local Public Administrative) |
지방정부, 지방행정, 그리고 지방자치의 개념,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및 관리, 정부간 관계, 공공서비스의 전달, 지방재정, 지역개발 등 지방행정의 주요 이슈들을 폭넓게 소개한다. 공공관리적 측면에서 지방행정의 특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지방행정의 현실과 문제점 및 향후의 개선과제를 모색한다. |
전공 |
협동조합론(Cooperative) |
본 교과목에서는 협동조합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그 실천 내용에 대해 배운다. 여기에는 협동조합의 개념, 협동조합의 유형, 협동조합의 역사, 협동조합의 발달, 그리고 각국의 협동조합의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다. |
전공 |
비교지역사회개발론(Comparative Community Development) |
본 교과목에서는 외국 지역사회개발의 이론과 그 실제를 상호 비교하여, 지역사회개발 학문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게 된다. 여기에는 비교지역사회개발의 개념, 비교지역사회개발의 유형, 비교지역사회개발의 역사, 그리고 비교지역사회개발의 사례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전공 |
지역사회개발세미나(community Development Seminar) |
본 교과목에서는 지역사회개발을 실제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지역사회개발의 계획, 지역사회개발의 실천 및 지역사회개발의 평가 등의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
전공 |
여성교육개론(Woman Education) |
본 교과목에서는 여성교육에 관해 체계적으로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여성교육의 개념, 여성교육의 역사, 여성교육의 과정, 여성교육의 특성 그리고 여성교육의 사례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전공 |
노인교육개론(Education for the Elderly) |
본 교과목에서는 노인교육에 관해 체계적으로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노인교육의 개념, 노인교육의 역사, 노인교육의 과정, 노인교육의 절차, 노인교육 특성 그리고 노인교육의 사례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
전공 |
청소년교육개론(Youth Education) |
본 교과목에서는 청소년교육에 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청소년교육의 개념, 청소년교육의 유형, 청소년교육의 역사, 청소년교육의 절차, 그리고 청소년교육의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보충 |
평생교육개론(Lifelong-Education) |
본 교과목에서는 평생교육에 관한 일반 내용을 공부하게 된다. 여기에는 평생교육의 개념, 평생교육의 역사, 평생교육의 과정, 평생교육의 특성 그리고 평생교육에 관한 각종 사례가 포함되어 있다. |
보충 |
평생교육경영학(Management of Lifelong-Education) |
본 교과목에서는 평생교육경영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평생교육경영의 개념, 유형, 절차, 방법 그리고 평생교육경영에 대한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보충 |
성인학습 및 상담(Adult Learning-Counseling) |
본 교과목에서는 성인학습 및 상담에 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성인학습의 개념, 유형, 절차 그리고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성인 상담분야에 대한 개념, 유형, 절차 및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보충 |
원격교육활용론(Remote Education) |
본 교과목에서는 원격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원격교육의 개념, 유형, 절차, 방법 그리고 원격교육에 관한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보충 |
인간자원개발론(Human Resource Development) |
본 교과목에서는 인간자원개발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게 된다. 여기에는 인간자원개발의 개념, 유형, 절차, 개발, 역사 그리고 인간자원개발에 대한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보충 |
평생교육방법론(Lifelong-Education Methods) |
본 교과목에서는 평생교육방법에 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평생교육방법의 개념, 유형, 절차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보충 |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Program of Lifelong-Education) |
본 교과목에서는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의 개념, 유형, 역사, 절차 그리고 평생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보충 |
지역사회교육론(Community Education) |
본 교과목에서는 지역사회교육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익히게 된다. 본 교과목에 포함될 내용에는 지역사회교육의 개념, 역사, 절차, 방법 그리고 지역사회교육의 사례 등이 포함되어 있다. |
보충 |
평생교육실습(Experience of Lifelong-Education) |
본 교과목에서는 평생교육실습에 관해서 체계적으로 익히게 된다. 여기에는 청소년평생교육기관, 노인평생교육기관, 여성평생교육기관, 각종 종합사회복지관, 각종 성인교육기관 등이 포함되어 있다. |